pageservice.tistory.com

useState 12

[React 상태관리 완전정복 10] 상태관리 전략 종합 정리

다양한 상태관리 기법을 언제,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용어 설명로컬 상태 (Local State)하나의 컴포넌트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상태입니다. useState, useReducer를 통해 선언합니다.전역 상태 (Global State)여러 컴포넌트에서 공유되어야 하는 상태입니다. Context API나 외부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로 관리합니다.불변성 (Immutability)상태를 직접 변경하지 않고, 복사본을 만들어 새 값을 설정하는 원칙입니다. 상태 변경을 리액트가 감지할 수 있게 합니다.상태 분리 (State Separation)역할에 따라 상태의 위치와 구조를 명확히 나누는 설계 방법입니다. 컴포넌트 간 의존성을 줄이고 유지보수를 쉽게 합니다.기본 개념React는 상태 기반 UI 프레임워크입니다.상태..

[React 상태관리 완전정복 5] 객체와 배열 상태관리

복합 데이터 구조를 다룰 때 반드시 알아야 할 불변성 원칙과 처리 방식용어 설명객체 상태여러 속성을 가진 데이터 묶음입니다. 예: 사용자 정보(user), 설정 정보 등배열 상태리스트 형태의 데이터입니다. 예: 할 일 목록, 상품 목록 등불변성 (Immutability)상태를 직접 변경하지 않고, 기존 값을 복사하여 새로운 상태로 만드는 원칙입니다. 리액트는 이 불변성을 기반으로 변경 여부를 감지합니다.기본 개념리액트에서 상태가 객체나 배열일 경우, 값만 바꾸는 식으로 처리하면 UI가 갱신되지 않습니다.그 이유는 리액트가 참조값(메모리 주소)을 기준으로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상태를 변경할 때는 반드시 기존 값을 복사한 후 새로운 값으로 대체해야 합니다.주요 사용 위치회원 정보(us..

[React 상태관리 완전정복 4] 상태 끌어올리기 (Lifting State Up)

여러 컴포넌트가 하나의 상태를 공유할 때 사용하는 핵심 패턴용어 설명상태 끌어올리기 (Lifting State Up)여러 컴포넌트가 동일한 상태를 필요로 할 때, 그 상태를 공통 부모 컴포넌트로 옮겨서 상태를 공유하는 방식입니다.부모 컴포넌트공통 상태를 보유하며, 그 상태와 변경 함수를 자식 컴포넌트에 props로 전달합니다.props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매개체입니다. 읽기 전용이며 상태를 직접 변경할 수는 없습니다.기본 개념React에서 여러 컴포넌트가 같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이럴 땐 각각이 상태를 가지는 대신, 공통 부모 컴포넌트가 해당 상태를 가지고, 필요한 자식 컴포넌트에 값을 내려주는 방식이 필요합니다.이러한 구조가 바로 **상태 ..

[React 상태관리 완전정복 3] 상태와 이벤트 연결하기

사용자 입력과 상호작용에 반응하는 UI 구성의 핵심 흐름 이해용어 설명이벤트(Event)브라우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행동입니다. 클릭,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이동 등이 모두 이벤트입니다.이벤트 핸들러(Event Handler)이벤트 발생 시 실행되는 함수입니다. onClick, onChange 등은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동작을 정의합니다.상태(State)컴포넌트 내에서 변할 수 있는 값으로, 이벤트를 통해 상태가 변경되면 UI가 자동으로 갱신됩니다.기본 개념리액트에서는 상태값과 이벤트를 연결하여 동적인 UI를 구성합니다.사용자 입력, 클릭 등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태가 변경되고, 그에 따라 UI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즉, 리액트의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사용자 행동 → 이벤트 발생 → 상태 변경..

[React 상태관리 완전정복 2] useState로 상태관리 시작하기

컴포넌트 내부에서 데이터를 선언하고 변경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용어 설명useState리액트의 상태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가장 기본적인 Hook입니다. 상태값과 그 값을 갱신하는 함수를 한 쌍으로 제공합니다.Setter 함수useState로 생성된 상태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를 통해 값을 바꾸면 리액트가 자동으로 화면을 갱신합니다.초기값상태를 선언할 때 최초로 설정되는 값입니다. 문자열, 숫자, 불린, 객체, 배열 등 어떤 자료형도 가능하며 이후 변경이 가능합니다.기본 개념useState는 함수형 컴포넌트 안에서 상태를 선언하기 위한 도구입니다.선언된 상태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유지되며, 상태가 바뀌면 해당 컴포넌트는 자동으로 다시 렌더링됩니다.useState는 다음과 같이..

[React 상태관리 완전정복 1] 상태란 무엇인가?

UI와 데이터 흐름의 핵심, 상태(state)의 개념과 역할 완전 이해용어 설명상태 (State)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되는 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값이 바뀌면 해당 컴포넌트는 자동으로 다시 렌더링됩니다.렌더링 (Rendering)컴포넌트의 JSX가 실제 브라우저 화면(DOM)으로 출력되는 과정입니다. 상태가 바뀌면 React가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UI를 갱신합니다.상태 : UI연동 데이터기본 개념리액트는 데이터 중심의 UI 프레임워크입니다.즉, 컴포넌트는 상태(state)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고, 사용자의 상호작용으로 상태가 변하면 React는 자동으로 해당 UI를 다시 렌더링합니다.이러한 흐름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상태가 변경되면 → 리액트가 자동으로 → UI를 갱신이 메커..

[React 상태관리 완전정복] 데이터 흐름부터 전역 상태까지 단계별 학습

다음은 React 상태관리 강의안입니다. 초급~중급 수강생을 대상으로, 상태의 개념부터 주요 관리 방법(useState, useReducer, Context API, 전역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등)까지 연역적으로 구성했습니다. 학습 목적은 UI와 데이터 흐름의 연결 원리를 명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상태관리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역량 확보입니다. 강의 구성 개요회차 주제 주요 키워드1강상태란 무엇인가?상태(state), UI 갱신, 컴포넌트 렌더링2강useState로 상태관리 시작useState, 초기값, setter함수3강상태와 이벤트 연결하기onClick, onChange, 상태변경, 렌더링4강상태 끌어올리기(Lifting State Up)부모-자식 간 상태 공유5강여러 상태 다루기 & 객체/배열 상태..

리액트 상태관리란?

React에서 상태관리는 데이터의 상태(state)에 따라 UI를 자동으로 갱신(렌더링)하고 관리하는 구조와 행위 전체를 말합니다.즉,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 서버 응답 등으로 인해 데이터가 바뀌면 화면도 그에 맞게 바뀌어야 하며, React는 이 과정을 자동화합니다. 이 자동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상태(state)"이고, 이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상태관리입니다.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UI를 관리하는 것이 바로 상태관리입니다.상태(state)란?React에서 상태는 화면에 영향을 주는 값입니다.단순히 숫자나 문자열이 있다고 해서 상태인 것이 아니라, 그 값이 useState, useReducer와 같은 리액트의 상태관리 훅을 통해 관리되고 추적 가능한 값이어야 비로소 상태라고 부릅니..

React 필수 용어 총정리

React란?React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만들기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상태(state)의 변화에 따라 화면을 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어 효율적인 웹 개발이 가능합니다.컴포넌트 (Component)UI를 구성하는 독립적 단위입니다. 하나의 페이지는 여러 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JSX (JavaScript XML)HTML처럼 보이는 JavaScript 문법입니다. React에서 UI를 선언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const title = Hello, React!;상태 (State)컴포넌트 내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입니다. 상태가 변경되면 해당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리렌더링됩니다.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

[ vite+React 기초학습 6] React State 기본 개념과 사용법

State란 무엇인가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눌렀을 때 숫자가 증가하거나 텍스트가 바뀌는 것처럼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데이터가 State입니다. State가 바뀌면 자동으로 화면이 다시 그려집니다.기본 개념React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useState 훅 사용상태 변경 시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 됨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선언, 관리됨주요 사용 위치/상황사용자 입력 처리(폼, 버튼 클릭 등)화면에 동적으로 변하는 데이터를 표시할 때구체적 코드 예시import { useState } from 'react';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return ( ..

[ vite+React 기초학습 5]이벤트 처리와 상태 관리의 시작 (useState)

이벤트 처리란 무엇인가이벤트 처리란 버튼 클릭, 입력값 변경 등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응답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React에서는 HTML 이벤트 속성과 유사하지만, camelCase 형식으로 작성하고 함수로 처리합니다.상태란 무엇인가상태(State)는 컴포넌트의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useState 훅을 통해 상태를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기본 개념이벤트 리스너는 camelCase 형식으로 작성상태 변경 시 React가 자동으로 리렌더링useState는 [값, 설정함수] 쌍을 반환주요 사용 위치/상황버튼 클릭 시 카운터 증가입력 필드의 값 실시간 반영UI 상태 변경 (ex. 모달 열기/닫기)구체적 코드 예시import { use..

(입문자 필독)프론트엔드 개발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기초 가이드

아래에 설명한 자바스크립트 기초 개념들은 React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Vue, Svelte, Angular 등 대부분의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에서 공통적으로 쓰입니다.즉, 프레임워크에 관계없이 반드시 익혀야 할 자바스크립트 기초입니다.React 연관 자바스크립트 기초개념 정리 (입문자 필독)React를 제대로 배우려면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을 먼저 확실히 익혀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React에서 실질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개념들을 정리하고, 각 개념이 어떻게 React와 연결되는지도 함께 설명합니다.변수 선언 (Variables)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var, let, const 세 가지 키워드를 사용합니다.var: 함수 스코프를 가지며, 재선언과 재할당이 모두 가능합니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