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ervice.tistory.com

프론트엔드 개발 실무/React 기초부터 프로젝트까지

[ChatGPT 챗봇 실습 7강] OpenAI 과금 구조 이해와 사용량 모니터링

free21 2025. 6. 13. 22:49

이번 강의에서는 ChatGPT API를 사용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요금 체계와 사용량 관리 방법에 대해 정리합니다.
과금 구조를 이해하고 예측함으로써 서비스 운영 비용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용어 설명

  • Token(토큰): 텍스트를 분할한 단위로, 과금은 토큰 수 기준으로 부과됨 (1토큰 ≒ 4자)
  • Completion: AI가 생성한 응답
  • Prompt: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기본 개념

  • OpenAI는 요청마다 사용한 토큰 수를 기준으로 과금
  • Prompt + Completion 토큰 합산 기준으로 요금이 계산됨
  • 모델(gpt-3.5, gpt-4)에 따라 단가가 다르며, 선택에 따라 비용 차이 발생

주요 사용 위치

  • 개인 또는 기업이 ChatGPT API를 활용해 서비스화할 때
  • 비용 최적화가 중요한 실무 개발 환경

구체적 요금 예시 (2024년 기준)

모델 입력 토큰 ($/1K) 출력 토큰 ($/1K)

gpt-3.5-turbo $0.0010 $0.0020
gpt-4 $0.03 $0.06

※ 예: gpt-3.5로 500자 입력, 500자 응답 시 약 250 tokens + 250 tokens ≒ $0.00075

사용량 모니터링 방법

  1. OpenAI Usage 대시보드 접속
  2. 일별/월별 사용량, 토큰 수, 예상 요금 확인 가능
  3. 알림 설정: 일정 금액 초과 시 이메일 알림 받기 설정 가능

핵심 요점 정리

  • API는 사용한 텍스트 양(토큰 수)에 따라 과금
  • 모델 선택이 요금에 큰 영향을 미침
  • OpenAI 대시보드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 과금 통제를 위한 알림 설정도 반드시 진행

 

💬 댓글

이번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나 요청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다음 글도 기대해주세요.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