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의에서는 ChatGPT API를 사용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요금 체계와 사용량 관리 방법에 대해 정리합니다.
과금 구조를 이해하고 예측함으로써 서비스 운영 비용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용어 설명
- Token(토큰): 텍스트를 분할한 단위로, 과금은 토큰 수 기준으로 부과됨 (1토큰 ≒ 4자)
- Completion: AI가 생성한 응답
- Prompt: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기본 개념
- OpenAI는 요청마다 사용한 토큰 수를 기준으로 과금
- Prompt + Completion 토큰 합산 기준으로 요금이 계산됨
- 모델(gpt-3.5, gpt-4)에 따라 단가가 다르며, 선택에 따라 비용 차이 발생
주요 사용 위치
- 개인 또는 기업이 ChatGPT API를 활용해 서비스화할 때
- 비용 최적화가 중요한 실무 개발 환경
구체적 요금 예시 (2024년 기준)
모델 입력 토큰 ($/1K) 출력 토큰 ($/1K)
gpt-3.5-turbo | $0.0010 | $0.0020 |
gpt-4 | $0.03 | $0.06 |
※ 예: gpt-3.5로 500자 입력, 500자 응답 시 약 250 tokens + 250 tokens ≒ $0.00075
사용량 모니터링 방법
- OpenAI Usage 대시보드 접속
- 일별/월별 사용량, 토큰 수, 예상 요금 확인 가능
- 알림 설정: 일정 금액 초과 시 이메일 알림 받기 설정 가능
핵심 요점 정리
- API는 사용한 텍스트 양(토큰 수)에 따라 과금
- 모델 선택이 요금에 큰 영향을 미침
- OpenAI 대시보드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 과금 통제를 위한 알림 설정도 반드시 진행
💬 댓글
이번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나 요청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다음 글도 기대해주세요.
'프론트엔드 개발 실무 > React 기초부터 프로젝트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챗봇 실습 9강] 반응형 UI, 다크모드, 입력 UX 개선 (0) | 2025.06.13 |
---|---|
[ChatGPT 챗봇 실습 8강] 챗봇 배포 – Vercel과 Netlify로 실제 서비스 만들기 (0) | 2025.06.13 |
[ChatGPT 챗봇 실습 6강] 대화 저장 기능 – localStorage로 유지되는 챗봇 만들기 (0) | 2025.06.13 |
[ChatGPT 챗봇 실습 5강] 챗봇 UI 개선 – 스크롤, 로딩 상태, 메시지 스타일링 (0) | 2025.06.13 |
[ChatGPT 챗봇 실습 4강] 백엔드 프록시 구성 – API 키 보안 처리 (0)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