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실무 활용법 1-6편
UX/UI 카피라이팅 및 기획 보조
웹사이트나 앱에서 사용되는 문구는 단순한 설명을 넘어서
사용자의 흐름, 감정,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입니다.
ChatGPT는 버튼 하나, 안내문 하나까지도 사용자 맞춤형 카피로 빠르게 구성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UX 카피란?
UX 카피는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보게 되는 모든 텍스트를 말합니다.
- 버튼 문구 (예: 시작하기, 주문 완료)
- 안내 문구 (예: 네트워크 오류, 비밀번호 재설정)
- 온보딩 문장
- 메뉴명/카테고리명
- 페이지 헤더/설명 문구
UX 카피는 짧고 명확해야 하며, 상황과 사용자에 맞춰야 합니다.
ChatGPT 활용 전략
UX 카피 프롬프트 작성 시 핵심은 아래 3가지입니다.
- 문구가 사용될 위치나 기능 명시 (예: 회원가입 완료 시, 결제 실패 시 등)
- 대상 사용자 설정 (예: 20대 여성, 초등학생, 직장인 등)
- 톤이나 브랜드 성격 반영 (예: 따뜻하고 친절하게, 명확하고 간결하게 등)
실전 예시
- 온보딩 문구 작성
20대 여성 사용자를 위한 쇼핑몰 앱의 온보딩 문구를 3가지 버전으로 써줘.
톤은 부드럽고 설레는 느낌으로.
- 에러 안내 문구
결제 실패 시에 보여줄 오류 메시지를 작성해줘.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도록 친절하고 명확하게 안내해줘.
- 버튼 텍스트 추천
설문조사 참여 버튼에 들어갈 문구를 추천해줘.
클릭을 유도할 수 있는 3단어 이내의 문장으로, 5가지 버전으로 써줘.
- 메뉴/카테고리명 정리
학습 관리 플랫폼의 사이드 메뉴명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리해줘.
기존 메뉴: '학습일지', '진행상황', '질문답변', '과제'
친근하고 직관적인 스타일로 바꿔줘.
- 경고/알림 문구 작성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마이페이지 접근 시 보여줄 경고 메시지를 써줘.
공격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로그인 유도를 포함해줘.
단계 요약
UX 카피라이팅 보조에 ChatGPT를 활용할 때는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 문구가 사용될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 버튼, 페이지 설명, 오류 메시지 등) - 사용자 유형을 명확히 설정한다
(예: 초보자, 10대, 고령층, 모바일 사용자 등) - 브랜드의 성격이나 감정 톤을 요청한다
(예: 부드럽고 친절하게, 신뢰감 있게, 트렌디하게 등) - 다양한 버전 요청으로 A/B 테스트에 활용한다
(예: “3가지 다른 스타일로 써줘”, “다른 느낌으로 다시 써줘”)
다음 편에서는 교육 자료 및 강의안 구성 보조 활용법을 안내드립니다.
UX 문구와 관련된 직무 실무 예제나, 화면별 카피 리스트가 필요하다면 댓글로 요청해주세요.
'생성형 AI 활용(텍스트.자동화.이미지) > ChatGPT 실무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hatGPT 실무 활용법 1-8편 ] 실무 루틴 자동화 활용법 (0) | 2025.06.27 |
---|---|
[ ChatGPT 실무 활용법 1-7편 ] 교육 자료 및 강의안 구성 보조 (0) | 2025.06.27 |
[ ChatGPT 실무 활용법 1-5편 ] 개발 및 코드 보조 기능 (0) | 2025.06.27 |
[ ChatGPT 실무 활용법 1-4편 ] 데이터 정리 및 분석 보조 (0) | 2025.06.27 |
[ ChatGPT 실무 활용법 1-3편 ]고객 응대 및 템플릿 자동화 (0) | 2025.06.27 |